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7월 신청기간

by helloreumi 2025. 7. 1.

2025년형 청년도약계좌는 “적금+정부 지원+세제 혜택”이라는

세 박자를 모두 갖춘 ‘청년 전용 목돈 통장’입니다.

 

5년 동안 매달 최대 70 만 원을 넣을 수 있고,

납입액에 따라 정부가 최대 3만 3000 원을 얹어 줍니다.

 

이자소득에 붙는 세금도 3년 이상 유지하면 면제라,

실제 체감 금리는 연 9%대에 이릅니다. 덕분에 173만 명이 이미 선택했고,

올해는 혜택 폭이 더욱 넓어졌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1. 나이는 어떻게 계산될까?
계좌를 만드는 날 기준으로 만 19세부터 34세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다만 군 복무를 했다면 복무 기간(최대 6년)을 나이에서 빼 주므로,

실제로는 서른 중반도 가입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 소득 기준은?
가장 최근 연도의 총급여가 7500 만 원 이하여야 하고,

종합소득금액은 6300 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

만약 직전 연도의 소득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면, 전전년도 자료로 심사를 받습니다.

참고로 비과세 소득(군 급여, 육아휴직수당 등)만 있다면 소득 요건을 따지지 않습니다.

 

 

 

 

 

 

 

3. 가구 소득은 왜 볼까?
청년 본인뿐 아니라 주민등록등본에 함께 올라 있는 배우자, 부모,

미성년 형제·자매, 자녀의 소득을 모두 합쳐 기준 중위소득의 250% 이하인지 살펴봅니다.

역시 직전 연도 소득이 확정되지 않았다면 전전년도 수치를 씁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장기 저축을 통해 청년이 결혼·주택·창업 같은

인생 이벤트에 필요한 목돈을 마련하도록 돕는 정책상품입니다.

가입 후 5년 동안 자유롭게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지원금을 더해 주고 만기 때 비과세 혜택까지 제공합니다.

덕분에 다른 적금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목돈을 쌓을 수 있다는 점이 최대 장점입니다.

 

 

 

 

 

2025년 달라진 혜택

 

올해부터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정부 기여금이 월 최대 3만 3000 원으로 늘었다는 점입니다.

또 3년 이상만 유지해도 비과세 혜택과 정부 지원금이 확정되므로

“무조건 5년을 채워야 하나?” 하는 부담이 줄었습니다.

 

급하게 돈이 필요하면 2년을 채운 뒤 일부만 빼낼 수도 있고,

납입을 성실히 이어 가면 신용평가에서도 가점을 받습니다.

즉, ‘유연성’과 ‘보상’이 모두 강화된 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방법

 

절차는 간단합니다.

원하는 은행 앱에서 ‘청년도약계좌 신청’ 버튼을 누르면 접수가 끝납니다.

이후 약 2주 동안 서민금융진흥원이 자격을 확인하고

다음 달 초에 같은 은행 앱에서 계좌 번호가 발급됩니다.

신청은 매달 가능하니, 급여 일정에 맞춰 편한 달에 시작해도 됩니다.

 

 

 

 

 

 

 

 

 

 

 

가입시 유의사항

 

한 사람이 여러 은행을 돌아다니며 중복 가입할 수 없습니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을 유지 중이라면 청년도약계좌를 새로 만들 수 없으니,

두 상품 중 유리한 쪽을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추후 해당자로 확정되면 납입이 중지될 수 있으니,

연말정산 결과를 유심히 확인해야 합니다.

 

 

 

특별중도해지 

 

만기 전에 해지하더라도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그대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예컨대 사망, 해외이주, 퇴직, 사업장 폐업, 천재지변, 3개월 이상 요양이 필요한 질병·상해, 결혼·출산,

생애 최초 주택 구입 등이 해당됩니다.

 

단, 사망·해외이주를 제외한 사유는 해지일 기준 6개월 이내에 발생해야 합니다.

해지하려면 가입 은행 지점에 방문해 ‘특별해지사유신고서’와 증빙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꾸준히 납입’이라는 조건만 지킨다면,

순수 저축만으로는 얻기 힘든 높은 수익률과 정부 지원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드문 기회입니다.

올해 새로워진 규정을 잘 살펴본 뒤,

본인의 소득·가구 상황에 맞는지 확인하고 미리미리 가입해 보세요.

한 발 빠른 준비가 5년 뒤 더 큰 목돈으로 돌아올 테니까요.